[대선상황실] 대선 두달 앞두고 '킹메이커' 김종인과 결별…윤석열의 시간<br /><br />이제 대선이 63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<br /><br />시시각각 변하는 대선 현장 상황 전해드리는 대선 상황실, 시작합니다.<br /><br />대선 정국을 키워드로 짚어봅니다. "광야에 홀로"<br /><br />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장고 끝에 결단을 내렸습니다.<br /><br /> "다 모두 오롯이 후보인 제 책임입니다. 지금까지 해온 것과 다른 모습으로 다시 시작하겠습니다. 오늘부로 선거대책위원회를 해산하겠습니다. 국회의원들에게 자리를 나눠주는 것이 아닌 철저한 실무형 선거대책본부를 구성하겠습니다."<br /><br />'김종인 쇄신안'을 받아들일 거냐, 아니면 김종인까지 쇄신하는 '독자 쇄신안'을 낼 거냐의 기로…김 전 위원장과 결별하고 스스로 '원톱'으로 서는 길을 택했습니다.<br /><br />김 전 위원장이 진통 끝에 선대위에 합류한 지 33일 만입니다.<br /><br />김 전 위원장은 어제저녁 때만 해도 여유 있는 모습이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윤 후보가 자신이 던진 쇄신안을 받아들일 거라고 생각한 겁니다.<br /><br />오늘 아침엔 윤 후보가 공식적으로 결별을 말하기 전, 언론에 먼저 사퇴 의사를 밝히고 격앙된 반응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 "무슨 상왕이니 쿠데타니…내가 무슨 목적으로 쿠데타를 하겠어요. 그 정도의 정치적 판단 능력이면 더이상 나하고 뜻을 같이할 수가 없어요. 윤석열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나라를 어떻게 해야 되겠다고 하는 비전이 보이지 않으니까 지금까지 이렇게 헤매고 있는 거예요."<br /><br />1년 전, 두 사람 관계의 출발은 좋았습니다.<br /><br />'킹메이커'로 불려온 김 전 위원장이 당시 검찰총장이던 윤 후보를 향해 "별의 순간이 왔다"고 하면서, 윤 후보에 대한 기대감은 한층 커졌습니다.<br /><br /> "인간이 살아가는 과정에 별의 순간은 한 번밖에 안 와요."<br /><br /> "(별의 순간을) 포착을 했으니까 이제 준비하면 진짜 별을 따는 거지. 저 사람의 얘기를 하는 걸 보면 단순한 검사만 한 검사가 아니예요."<br /><br />윤 후보가 검찰총장직에서 사퇴하고 잠행하는 사이엔 "별은 아무 때나 잡는 게 아니다", "(대권 출마를 할지 말지) 간을 보는 처신으론 국민들 짜증만 나게 한다"며 결정을 몰아붙이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경선 과정에선 장외에서 조언하며 도움을 줬지만, 정작 후보 선출 이후 눈에 띄게 삐걱거렸습니다.<br /><br />윤 후보가 구상한 김종인·김병준·김한길 3인 체제는 김 전 위원장이 전권을 휘두르는 '원톱' 선대위 구상과는 차이가 컸습니다.<br /><br />김종인 전 위원장은 2012년 새누리당에서 총선·대선을 치를 때 박근혜 전 대통령과 경제민주화에 대한 의견 차이가 있다며 비대위원, 국민행복추진위원을 사퇴하며 판을 흔들고 주도권을 가져왔습니다.<br /><br />2016년 민주당 비대위원장을 맡을 때도 자신이 주도한 비례대표 후보 명단을 둘러싸고 갈등이 벌어지자 '사퇴'라는 벼랑 끝 전술을 썼습니다.<br /><br />당 대표였던 문재인 대통령이 구기동 자택으로 찾아가 사퇴를 만류하면서 당무에 복귀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번엔 진짜 이별로 보입니다.<br /><br /> "그동안 저에게 많은 조언과 총괄선대위원장으로서 역할을 해주신 김종인 위원장께는 정말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앞으로도 좋은 조언을 계속해주시길 부탁드렸습니다."<br /><br /> "(윤 후보가) 인사치레 전화한 거지 특별한 얘기가 있어? 그 별의 순간이라는 게 지켜지려면 그렇게 쉽게 가는 게 아니에요. 사람을 어떻게 선택해서 쓰느냐 하는 안목이 있어야 성공할 수 있는 건데, 그런 게 없었으니 이런 현상이 초래된 거예요."<br /><br />윤 후보, 그야말로 대선 광야에 나 홀로 섰습니다.<br /><br />일단 새로운 선대위의 총괄본부장은 4선 권영세 의원이 맡았습니다. 윤 후보는 젊은 실무자들이 선대본부를 끌고 가도록 하겠다는 구상입니다.<br /><br />개인기로 위기를 돌파하겠다는 건데, 6개월 전 정치 입문 당시의 '윤석열다움'을 회복하는 데 방점을 찍었습니다.<br /><br />최측근인 권성동 사무총장과 윤한홍 의원이 물러나기로 하면서 부담을 덜었지만, 이준석 대표와의 관계 설정은 숙제입니다.<br /><br />권성동 사무총장 퇴진으로 한층 더 사퇴 압박을 받게 된 이 대표는 사퇴는 없다는 입장을 명확히 밝혔습니다.<br /><br /> "당직은 제가 임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 대표의 거취는 당대표가 결정하는 거고요. 뭐 당을 위해서 그렇게 판단(당직 사퇴) 하시는 분이 있다면 존중하고 제가 또 결원은 채우도록 하겠습니다."<br /><br />당이 비대위 체제로 간다고 해도 당규상 비대위원장 지명권이 자신에게 있다는 사실도 명확히 했습니다.<br /><br />윤 후보는 일단 이준석 대표가 당대표로서 역할을 잘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는데, 대선 후보로서 자질과 수권 능력이 이제 정말, 시험대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윤 후보는 오늘 2030에 실망을 줬던 행보를 깊이 반성한다고도 했는데요, 오늘 나온 2030 여론조사 결과가 눈길을 끌었습니다.<br /><br />민심상황판에서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번 대선의 캐스팅보트, 20·30세대만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는 처음입니다.<br /><br />결과는 이재명 33.4%, 안철수 19.1%, 윤석열 18.4%, 심상정 7.5%.<br /><br />이재명 후보가 우위를 보이고, 윤석열·안철수 후보가 오차 범위 내에서 접전입니다.<br /><br />윤 후보에게 등 돌린 청년층이 안 후보로 옮겨갔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특히, 30대보단 20대에서 안철수 후보 지지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20대에선 이재명 26.4%, 안철수 23.6%로 오차범위 내 접전입니다.<br /><br />2030이 무척 민감한 주제죠.<br /><br />'공정'을 가장 잘 실현할 것 같은 후보가 누구냐는 질문엔 이재명 24.8% 안철수 22.2% 윤석열 14.9% 심상정 9.7%라는 응답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'공정', '상식'을 핵심 가치로 내세운 윤 후보로선 뼈아픈 지점입니다. 안철수 후보의 약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고요.<br /><br />주목할 점은 2030 10명 가운데 4명은 얼마든지 투표할 후보를 바꿀 수 있다고 한 점입니다.<br /><br />유동성이...